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건축 잡지 〈미로〉 창간
반갑고 놀라운 잡지다. 근작 소개나 건축 비평 중심인 기존 건축 매체에서 완전히 벗어났다. 매호 선정한 주제에 집중하는 텍스트 중심의 건축 잡지 〈미로〉에 관한 얘기다. 건축의 층위가 다양한 만큼 필자의 폭도 넓다. 건축가, 기획자, 비평가, 큐레이터, 역사학자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현대건축의 담론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데 목표를 둔다. 제호에도 다층적 의미가 있다. 해법도 출구도 보이지 않는, 한국 건축이 처한 상황을 은유하는 한편 독자들이 예상치 못한 길을 찾길 바란다는 편집 지향점을 담았다. 또한 미로는 그 자체로 분명한 의도가 있는 구조물이기도 하다. 〈미로〉가 다루는 건물 역시 건축가의 설계 의도가 분명히 담긴 디자인이다. 창간호 주제는 ‘참조와 인용’이다. 음악, 영화, 문학, 공연 등 여러 창작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한국 현대 문화에 대한 참조와 인용이 건축계에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전문가들의 각기 다른 시각과 입장을 통해 되짚어본다. 2, 3, 4호는 각각 ‘일본’, ‘OMA’, ‘나무’를 주제로 이어질 예정이다.
“〈미로〉는 출구를 찾는 효율적인 최단 경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오히려 길을 잃고 헤매는 과정에서 생길지도 모르는 부산물에 더 초점을 맞춘다. 우리는 온전한 건축의 신기루가 아니라 건축이란 이름 아래에서 벌어진 일들이 더 중요하다고 믿는다. 신화 속 근원적 건축가가 아니라 미로라는 세계 속 산물을 제호로 삼은 것도 같은 이유다.”
박정현 〈미로〉 편집장
발행 정림건축문화재단
편집장 박정현
편집 김상호, 심미선
글 강신, 곽승찬, 김광수, 김사라, 김효영, 배윤경, 서재원, 송률, 이치훈, 이희준, 임윤택, 전재우, 최원준, 크리스티안 슈바이처, 콜린 로우, 현명석
세계 최초의 MoMA 북스토어가 서울에 문을 열었다.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이 함께 만든 이 공간은 1100여 권의 아트, 디자인, 건축 전문 서적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곳. 아이코닉한 디자인 소품과 라이프스타일 아이템, 실시간 디지털 콘텐츠가 어우러져 일상 속 예술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국내 가구 브랜드 ‘틀(THE TLE)’ 철학을 담아 설계된 STUDIO TLE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정체성을 공간으로 풀어낸 전시장이다. 더 틀의 제품은 효율적인 구조와 세밀한 디테일이 만들어내는 높은 완성도가 특징이자 강점이다. 디자이너들은 이 점에서 브랜드가 가진 장인정신과 한국 가구 브랜드로서 이어가는 전통성을 발견했다.
2000년대 프레피 스타일부터 아르데코 인테리어까지, 핀터레스트의 2025 가을 트렌드 리포트는 대세를 따르기보다는 ‘각자의 이야기를 담은 유니크한 아이템을 찾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올가을, 패션과 여행, 향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핀터레스트가 제안하는 트렌드 속에서 새로운 영감을 얻어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