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랜딩이라는 첨예한 과제를 돌파하는 데 소통과 협업이라는 정공법은 여전히 유효한 해답이 될 수 있다.
소통과 협업의 정공법, 캐스틸 리브랜딩
이탈리아 가구 브랜드 캐스틸(Castil)은 철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남다르다. 금속 가공에 특화된 전문 기술을 보유한 곳으로, 이탈리아 우디네에 있는 공장에서 제작 전 과정이 이뤄진다. 부챗살처럼 각을 맞춰 늘어선 금속 튜브, 직선과 곡선이 어우러진 구조, 경쾌하고 캐주얼한 원색 컬러는 브랜드의 인장과도 같다.
캐스틸이 올해 과감한 리브랜딩을 단행한 것은 가구에서 느껴지는 농도 짙은 개성을 아이덴티티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다. 좋게 표현하면 정제된, 다르게 말하면 밋밋했던 기존 아이덴티티가 제품의 톤앤무드와 맞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최근 리브랜딩의 기조가 대부분 기존 아이덴티티의 골조를 크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 뭉근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캐스틸은 완전한 쇄신을 원했고 이를 위해 혼도 스튜디오(Hondo Studio)에 집도를 맡겼다.
리뉴얼의 키를 건네받은 혼도 스튜디오는 캐스틸의 철제 가구 자체에 주목했다. 유연하게 구부러진 금속 튜브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치환해 로고타이프에 적용하고, 메탈릭한 컬러와 질감을 캠페인 이미지에 활용해 철제의 견고함과 정밀함을 드러냈다. 한편 로고타이프와 전용 서체를 디자인하는 과정에는 베스트 타입페이스(Best Typefaces)의 타입 디자이너 이그나시오 카스코(Ignacio Casco)가 힘을 보탰다. 전용 서체 ‘캐스틸 모노(Castil Mono)’는 두 스튜디오의 면밀한 협업 끝에 탄생한 폰트로, 로고타이프의 구조적 요소를 개념적으로 확장한 결과물이다. 이렇게 완성한 아이덴티티는 흡사 캐스틸의 공장에서 나온 듯 위화감이 없다. 리브랜딩이라는 첨예한 과제를 돌파하는 데 소통과 협업이라는 정공법은 여전히 유효한 해답이 될 수 있다는 걸, 캐스틸의 사례가 증명한다.
“사려 깊은 협업에 힘입어 이번 프로젝트를 완수할 수 있었다. 베스트 타입페이스와 손잡고 캐스틸의 철학을 깊이 탐구하는 과정을 거친 덕분에, 단순히 완성도 높은 디자인을 넘어 브랜드의 창의적 정신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힘 있는 시각 언어를 완성할 수 있었다.”
(왼쪽부터) 마리아 비오케(María Vioque), 프란 멘데스(Fran Méndez) 혼도 스튜디오 공동대표
세계 최초의 MoMA 북스토어가 서울에 문을 열었다.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이 함께 만든 이 공간은 1100여 권의 아트, 디자인, 건축 전문 서적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곳. 아이코닉한 디자인 소품과 라이프스타일 아이템, 실시간 디지털 콘텐츠가 어우러져 일상 속 예술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향기는 기억과 감정을 자극하는 가장 섬세한 매개체다. 부케(La Bouquet)’는 생화 향의 레이어링을 통해 마치 꽃다발을 막 받아든 듯한 순간을 선사한다. 그리고 그 감각을 브랜드의 모든 디자인 요소에 녹여내고자 했다. 브랜드명 ‘La Bouquet’는 꽃다발을 뜻하는 불어 ‘bouquet’에 여성형 관사 ‘La’를 덧붙여 만든 합성어다.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디저트는 대부분 외국에서 들어온 것들이다. 커피, 케이크, 쿠키 등 자주 먹고 마시는 디저트 말고, 감각적인 ‘오늘날의 한식 디저트’를 경험해보고 싶다면 북촌으로 발길을 옮겨보자. 한옥마을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북촌의 가장 안쪽에서 새롭게 문을 연 ‘아라리(ARARI)’가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