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최용준은 미래빌딩 3층에서 열리는 개인전 〈미래-완료〉에서 21세기 도시 풍경에 새겨진 미래의 분위기를 포착했다.
도시에 새겨진 미래의 흔적들, 〈미래-완료〉전
도시 풍경에서 우리는 종종 미래를 엿본다. 한때 미래적이라고 여긴 건축물과 구조물이 도시에 잔상처럼 남아 있기 때문이다. 제아무리 빛바랜 건물일지라도 지어질 당시 미래를 향해 품었던 모종의 분위기는 고스란히 느껴진다.
사진가 최용준은 오는 6월 30일까지 미래빌딩 3층에서 열리는 개인전 〈미래-완료〉에서 21세기 도시 풍경에 새겨진 미래의 분위기를 포착했다. 작가가 한국, 미국, 일본 등지에서 약 7년간 ‘예전 사람들이 미래라고 생각했던 요소들’을 촬영한 사진을 한자리에 모았다. 각진 건물의 실루엣, 컨베이어 벨트로 이루어진 공장 생산 라인, 철골 구조의 탑, 20세기 컨트롤 머신 등 도시의 크고 작은 흔적들을 펼쳐 보인다.
건축물을 정직하게 기록한 사진이 있는가 하면, 도시 속 패턴을 찾아 이미지로 구현하는 작가 특유의 관점이 묻어나는 사진도 있다. 과거와 미래, 현실과 상상이 뒤섞이며 그야말로 기이한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가령 한쪽 벽에 걸린 큰 흑백사진 속 구조물은 질문을 던진다. 이미 사라진 건물인지, 지금도 남아 있는 건물인지 말이다. 분명 미래를 표방하지만 어쩐지 존재하지 않는 듯한 느낌을 준다. 낙관도 비관도 없이 그저 응시하는 사진들은 보는 이에게 도시에 감도는 미래의 풍경을 넌지시 일러준다.
“1960년대 총리 관저로 알려진 미래빌딩에서 〈미래-완료〉전을 열었다. 미래빌딩이 지어진 20세기 중후반, 건축을 통해 미래를 엿보고자 했던 여러 건축가의 작업을 모은 흑백의 건축 사진들과, 미래라는 개념이 일상 속에서 어떻게 스며드는지 포착한 스냅에 가까운 컬러 사진을 한자리에 모았다. 유한식 건축사사무소 엔오에이 소장과의 기물 협업을 통해 평면 사진을 입체적으로 경험할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했다. 공간이 가진 힘과 제약을 최대한 활용해 시각적인 긴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품을 배치했다.”
사진가 최용준
기획 박찬용 전시 디자인 유한식(건축사사무소 엔오에이) 전시 설치 이건, 이수미 그래픽 디자인 신기오(스튜디오 키오) 공간 협찬 로우클래식
세계 최초의 MoMA 북스토어가 서울에 문을 열었다. 현대카드와 뉴욕현대미술관이 함께 만든 이 공간은 1100여 권의 아트, 디자인, 건축 전문 서적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곳. 아이코닉한 디자인 소품과 라이프스타일 아이템, 실시간 디지털 콘텐츠가 어우러져 일상 속 예술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리움미술관의 상설기획전 〈까치호랑이 虎鵲(호작)〉은 호랑이와 까치가 함께 등장하는 전통 도상을 통해 한국 미술의 정서와 해학을 조망한다. 1592년 제작된 현존 최고 호작도부터 조선 후기 민화, 김홍도의 정통 회화까지 400년간 변주된 까치호랑이 이미지를 한자리에서 소개한다.
포츠담 현대미술관 DAS MINSK의 전시 〈 주거복합체: 플라텐바우 속 예술과 삶〉은 동독 플라텐바우를 둘러싼 기억과 재현을 탐구한다. 22명 작가는 건축사가 아닌 주거의 사회문화적 의미에 집중했으며, 1970~80년대 실제 거주한 세대와 이후 세대가 같은 공간을 각기 다른 시선으로 표현했다.
아트드렁크는 예술을 ‘즐기는 방식’ 자체를 제안하는 미디어 브랜드다. 난해한 해설이나 복잡한 설명 대신, 직관과 감정을 중심으로 예술을 바라보는 태도를 지향한다. 관람객이 예술을 보다 가볍고 즐겁게 경험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 브랜드의 핵심 철학이다. 이번 아트 위크에서 선보인 여러 프로그램들은 그 철학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며 예술에 대한 대중들의 장벽을 낮추고 있다.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가 시작됐다. 9월 4일부터 11월 1일까지 청주 문화제조창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번 행사는 72개국 1,300여 명의 작가가 2,50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이는 역대급 규모다. ‘세상 짓기’라는 주제로 디지털 시대의 공예가 던지는 질문과 대안을 만나볼 수 있다. 공예로 가득 채워질 청주의 60일, 그 풍경을 미리 들여다본다.
유명 패션 브랜드부터 세계적인 셀럽들까지 사랑하는 현대미술 작가인 다카시 무라카미가 지금 서울에서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전시는 용산 아모레퍼시픽 본사 1층의 APMA 캐비닛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가고시안이 주최를 맡고 있다. 데이비드 치퍼필드가 설계한 투명하고 개방적인 건물 1층에서 무라카미의 시그니처 아이콘인 ‘활짝 웃는 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